Surprise Me!

[단독]‘셀프 검증’으로 3천 억 지하철 내진공사

2018-11-22 1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수천억 원 규모의 지하철 내진공사를 두고 '셀프 감사'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> <br>내진공법을 여러 차례 심사했는데 특정 교수와 학회가 연결돼 있었던 겁니다. <br> <br>최주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최주현 기자] <br>"지하철 1호선부터 4호선까지 총 53.2km 구간에,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내진 보강 사업이 3천억 원 규모로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‘부실 감사’ 논란에 휩싸이면서 공사는 발목이 잡힌 상태입니다." <br><br>내진 보강 사업은 터널이나 정거장이 지진에 견딜수 있도록 하는 작업입니다. <br> <br>2015년부터 국비가 투입되면서, 3차례 공법 심의가 열렸는데, 지난해 7월 감사원이 제동을 걸었습니다. <br><br>[감사원 관계자] <br>"성능 평가가 안 되어있으니까 부족한 부분을 보강공사까지 (하자.)" <br> <br>지하에 물이 1m 이상 차오르는 상황에서, 내진 성능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겁니다. <br><br>결국 서울교통공사는 앞선 3차례 심의를 재조사하기로 하고, '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'에 맡겼습니다. <br><br>그런데 이 학회가 연구책임자로 선정한 대학교수 A 씨는 바로 2차 심의에서 내진공법을 결정한 인물이었습니다. <br> <br>'셀프 감사'인 셈입니다. <br> <br>게다가 이 학회를 선정한 평가위원 7명 중 2명이 이 학회의 임원으로, 경쟁업체보다 10점 넘게 후한 점수를 줬습니다. <br> <br>A 교수는 서울교통공사의 잘못이라고 말합니다. <br> <br>[A 교수 / 한국터널 지하공간 학회 연구책임자] <br>"(서울교통공사가) 배척를 했어야 해요, 그(학회) 사람들을. 배척했으면 아무 문제 없었겠죠." <br><br>내진공법을 심사하는 기준도 가중치가 수시로 바뀌는 등 들쭉날쭉했습니다. <br><br>내진공사가 시민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을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. <br> <br>최주현 기자(choigo@donga.com) <br> <br>영상취재 박희연 김명철 황인석 <br>영상편집 오영롱 <br>그래픽 김승훈 김태현 <br> <br> <br>

Buy Now on CodeCanyon